반응형 별자리6 아마추어 천문학 아마추어 천문가는 천문학을 직업으로 했거나 그 분야의 학문적인 교육을 받지 않았는데 취미로 천문학을 연구하거나 관측하는 사람을 말한다. 대개 초심자들이고 일부가 높은 수준의 지식을 가지고 있어 가끔 전문적인 천문가들을 돕기도 한다. 아마추어 전문가들은 보통 대부분 천체가 보이는 밤하늘을 관측하는데 가끔 대낮에 흑점이나 일식을 관측하기도 한다고 한다. 흑점이란 태양 표면의 강한 자기 활동으로 인해 대류 활동이 방해받아서 주변보다 온도가 낮아져 표면이 검게 보이는 영역을 말하며 대략 3천~4천5백 Kelvin으로 주변이 대략 5천8백 Kelvin을 띄는 것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를 보이며 물체 표면에서 발생하는 복사열은 물체의 표면 온도의 4승에 비례한다는 스테판-볼츠만 법칙을 따른다고 한다. 또한 .. 2022. 8. 4. 전파 천문학 전파 주파수대에서 천체를 연구하는 천문학 계열의 하위 분야. 천체에서 흘러나오는 전파를 처음 탐지한 건 1930년대 "칼 젠스키"가 우리은하에서 오는 전파를 받아낸 것이 처음이라고 한다. 그 뒤를 이은 관측 결과 수많은 전파 방출원들이 발견됐고 항성이나 은하는 물론이고 전파은하, 퀘이사, 필사, 메이저 등등 완전하게 새로운 부류의 천체들이 발견되기도 했다고 한다. 대 폭발 이론에 대한 강력한 근거를 제공한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의 발견! 바로 전파천문학을 통해 이루어진 것이라고 한다. 전파천문학은 전파망원경이라고 하는 전파 안테나를 통해 수행되며 한가지의 전파망원경이 사용되기도 하고 여러 개의 전파망원경을 연결해서 간섭계를 만들어 개구합성을 하기도 한다. 간섭계를 사용하게 되면 구성하는 개개의 망원경 사이.. 2022. 7. 21.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