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우울증2

헌팅턴 무도증(춤추는 병) 진료과 : 신경과, 정신과, 재활의학과증상 : 운동증상, 인지증상, 정신증상통상적 발병 시기 : 30~50세기간 : 15~20년 정도병인 : 유전자 이상진단 방식 : 임상평가, 유전자검사, 뇌영상 검사투약 : 테트라베나진, 항정신병제, 항우울제, 항 불안제 등예후 : 발병 후 약 15~20년 정도 후 합병증으로 사망할 수도 있음빈도 : 전 세계 10만 명당 5~10명 정도 헌팅턴 무도증(Huntington's disease, HD)은 유전적으로 발생하는 신경퇴행성 질환으로, 운동, 인지 기능, 정신 건강에 영향을 미칩니다. 이 질환은 1993년에 발견된 헌팅턴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HTT 유전자의 돌연변이에 의해 발생합니다. HTT 유전자에서 특정한 CAG 반복 서열이 과도하게 늘어나면서 비정상적인 헌팅턴.. 2024. 12. 27.
코타르 증후군(걷는 시체 증후군, 스스로 유령이라 믿는 병) 진료과 : 정신과증상 : 망상장애병인 : 뇌 기능적이상, 우울증 등 정신질환, 뇌졸중등 신경학적 등  코타르 증후군(Cotard's Syndrome)은 희귀한 정신질환으로, 환자가 자신이 죽었다고 믿거나 자신의 신체 일부, 장기, 또는 존재 자체가 없어졌다고 확신하는 망상적 상태를 특징으로 합니다. 이를 "허무망상(nihilistic delusion)"이라고도 부르며, 1880년 프랑스 신경정신과 의사 쥘 코타르(Jules Cotard)가 처음으로 이 증후군을 보고하여 그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습니다.이 증후군은 단독으로 나타나기보다 우울증, 정신분열증, 양극성 장애, 치매 등의 다른 정신질환과 연관되어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매우 드문 질환으로, 주로 성인들에게 나타나지만 드물게 청소년이나 노년층에서.. 2024. 12. 23.